TNM 기준에 따른 유방암 병기 구분(0기~1기)
TNM 기준
(:종양의 상태와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여부,
목의 림프절 전이를 포함한 뼈·폐·간 등
전신 전이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)
TNM 기준에 따른 병기 구분에서
0기와 1기에 해당하는 단계의 특징은
다음과 같습니다.
▶ 0기(상피내암)
0기 암으로 불리는 상피내암은 암세포가
상피 내에 국한된 경우를 말합니다.
- 상피내암의 분류
상피내암은 관상피내암과 소엽상피내암
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- 상피내암의 특징
국제보건기구(WHO) 기준을 따르면 암이
아닌 양성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.
- 관상피내암의 특징
관상피내암의 경우 유방암 1, 2기 치료와
비슷한 정도의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가
필요해 유방암에 포함시켜 설명하는
의사가 많습니다.
▶ 1기(침윤성 유방암)
암세포가 상피뿐만 아니라 주위 유방
조직에 침입한 경우에 해당합니다. 1기
암은 침윤성 유방암 중 가장 초기이며
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합니다.
①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
②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다
③ 전신 전이가 없다
암 진행에서 매우 초기 단계이므로
재발과 전이가 적어, 생존율이 상당히
높습니다.
'유방암 면역요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방암 병기의 세부 구분(0기, 1기) (0) | 2017.04.10 |
---|---|
TNM 기준에 따른 유방암 병기 구분 (2) (0) | 2017.04.10 |
유방암의 병기 구분은 어떻게? (0) | 2017.04.07 |
유방암 자가진단법 (2) (0) | 2017.04.07 |
유방암 자가진단법 (1) (0) | 2017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