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유방암 면역요법

유방암과 Ki67, EGFR



▶ Ki67 구분 기준

Ki-67 또한 p53과 마찬가지로

손상된 종양 억제 유전자에 대한 비율이


5~9%일 경우: 1+

10~49%일 경우: 2+

50% 이상일 경우: 3+


이러한 기준으로 구분합니다. 비율이

높을 경우에는 항암 치료나 보조치료

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.





EGFR(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)

▶ EGFR의 역할

EGFR은 표피성장인자(epidermal growth

factor, EGF)를 세포 표면에서 인식해 세포

성장과 분열을 촉진시키는 수용체입니다.


▶ EGFR의 특징

암은 제어되지 않는 분열에 의해 생기는

만큼, 암 조직의 세포 표면에는 EGFR 수가

비정상적으로 많은 경우가 흔합니다.





이 수용체는 폐, 결장, 췌장, 유방암 등과

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EGFR 밀도가

높을수록 강력한 약물과 치료가 필요합니다.


▶ EGFR의 활용

이 수용체는 다른 표지자들처럼 농도

검사를 통해 암 진단이나 경과 분석에

이용되지는 않습니다.


그러나 ①EGFR 관련 유전자 검사나

②수용체 밀도 검사로 특정 약물의 치료

반응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



▶ 최근의 연구 결과

최근 EGFR를 생산하는 유전자 변이가

있는 폐암 환자에게 EGFR 표적 치료제인

제프티닙이나 엘로티닙으로 치료를

진행했을 때, 유전자 변이가 없는

환자에 비해 생존 기간이 2~3배 연장

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.


▶ EGFR 유전자 변이의 경향

EGFR 유전자 변이는 아시아 비흡연

여성에게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